-
2023 정부 임신혜택· 임산부지원금 총정리(국민행복카드, 진료비할인, 임산부 친환경농산물)잡지식 2022. 11. 29. 06:30반응형
이미지 출처 freepik 2023 임산부 혜택 및 지원금 총정리!
임산부가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각종 혜택과 지원금들이 다양하게 있습니다. 각종 지원금 및 혜택을 총정리해서 알려드릴 테니 차근차근 모두 챙겨 받아봅시다.
2022.11.30 - [잡지식] - 2023 정부 출산혜택 · 출산지원금 총정리(부모급여, 아동수당, 첫만남 이용권)
2023 정부 출산혜택 · 출산지원금 총정리(부모급여, 아동수당, 첫만남 이용권)
2022년부터 정부에서 지급하는 출산 장려금/지원금은 인상되면서 중앙 정부에서 각 지자체별로 제각각인 출산장려금 통폐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 다행히 2023년에는 혜택이나 지원금이 축소되
twotwd.tistory.com
출산 혜택과 출산 지원금 궁금하신 분들은 위 글에서 확인해보세요:)
목차
2. 국민건강보험 등 정부 혜택받기
1) 국민건강보험공단 임산부 등록-국민행복카드 발급
2) 임산부 외래 진료비 할인 혜택
3) 보건소 임산부 등록
4) KTX, SRT 임산부 할인
5)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1. 임신확인서 발급
임신테스트기로 임신을 확인하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산부인과에 가서 임신 진단을 받는 것입니다. 하지만 임신테스트기로 확인을 했다고 해서 바로 병원에 간다고 해도 아무 것도 진단을 받을 수 없습니다.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임신 5주 차 정도에는 들어서야 산부인과에서 아기집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임신 주수는 초음파로 진단을 받기 전까지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로 대략적인 계산을 하는데, 네이버 임신주수 계산기로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.
산부인과 진료를 받으시고 나면 이제 임신 사실 확인서와 산모 수첩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2. 국민건강보험공단을 비롯한 다양한 정부 혜택 받기
1) 국민건강보험공단 임산부 등록-국민행복카드 발급
-국민행복카드란? 국가에서 시행하는 다양한 바우처를 하나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형 바우처 카드인데, 임산부로 등록하게 되면 임산부와 영유아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여 출산 진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자 임신·출산 관련 진료비 등 (급여·비급여)의 본인부담금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(=금액 포인트)을 받는 것입니다.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삼성/비씨/롯데카드사를 통해서 발급받으면 됩니다.-지원 금액: 임신 1회당 일태아 100만원 / 다태아 140만원
(신청 당시 분만취약지*에 거주하면서 연속 30일 이상 거주한 임산부의 경우 20만원 추가 지급)
*분만취약지 : 보건복지부 「분만취약지 지원 사업 안내」의 분만취약지를 따르며, 매년 변동될 수 있음-사용 범위: 임산부의 진료비 및 약제·치료재료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(급여·비급여) 결제
(질병이나 건강증진 등 의료목적이 아닌 경우 사용이 불가하며, 약제의 경우 식약처에서 허가를 받은 의약품(전문의약품·일반의약품) 구입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의약외품은 사용 제한)-사용 방법: 실물 국민행복카드로 모든 병·의원에서 진료비 결제
-사용 기한:
· 출산 전 신청: 이용권 발급일(포인트 생성일) ~ 분만예정일로부터 2년
· 출산 후 신청: 이용권 발급일(포인트 생성일) ~ 출산일(유산일, 사산일)로 부터 2년-자세한 내용:
·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: https://www.nhis.or.kr/nhis/policy/wbhada13900m01.do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< 임신/출산급여 < 의료비지원 < 보험급여 < 국민건강보험 < 정책센터
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제도(국민건강보험법 제50조, 동법 시행령 제23조-부가급여) 2022년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 확대 시행(시행일: 2022.1.1.) 임신.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확대 전 안내 테이
www.nhis.or.kr
·국민행복카드 홈페이지: http://www.voucher.go.kr/voucher/pregnancy.do#
국민행복카드
국민행복카드에 대한 이용대상, 혜택, 신청방법, 사용처, 공지사항, 자주묻는질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www.voucher.go.kr
2) 임산부 외래 진료비 할인 혜택
2017년 1월 1일부터 모든 요양기관(병원)에서 외래 진료 시 산모수첩, 임산부 확인증, 국민행복카드 중 하나를 제시하면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 시 본인부담금 20%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임산부가 진료받는 모든 진료과가 대상이며, 외래 진료 시 본인부담률이 상급종합병원 60%→40%, 종합병원 50%→30%, 병원 40%→20%, 의원 30%→10%로 감면 혜택을 받게 됩니다. 단, 해당 혜택은 외래 진료 시에만 해당되고, 비급여, 입원, 원외처방전 약제비 등 적용되지 않는 항목이 있다고 합니다.자세한 내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(심평원 홈페이지(https://www.hira.or.kr)-기관소식-공지사항-'임신부 외래진료비 본인부담률 경감제도 적용 및 홍보 협조요청 안내')
https://www.hira.or.kr/bbsDummy.do?pgmid=HIRAA020002000100&brdScnBltNo=4&brdBltNo=9866#none3) 보건소 임산부 등록
*지자체별 모자보건사업에 따라 서비스 내용은 다르므로,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 참고
-등록 방법: 방문등록, 온라인등록(아이사랑보육포탈)
-임산부 건강검진: 산전검사(혈액검사 및 소변검사)
-엽산제, 철분제 지급(정부24 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에 포함)
-기형아 검사비 무료 지원
-산전 및 산후관리
-임산부 배지 및 임산부 자동차 배지(공영주차장 요금 할인) 발급
-유축기 대여4) KTX, SRT 임산부 할인
*정부 24 맘 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에 포함되어 있음
-맘편한 KTX: 임산부와 함께 동행하는 보호자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할인 혜택은 출산예정일+1년까지 받을 수 있고, 특실 요금을 면제받아 특실 좌석을 일반 좌석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1인 1회 2매, 1일 2회, 1개월 8회까지 이용 가능합니다. 다만 코레일 멤버쉽에 가입이 되어있어야 하며 정부24(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에 포함)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-SRT 임산부 할인(SRT-Pink): 1일 2회, 월 10회, 1회 이용 시 동행하는 보호자까지 30%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할인 혜택은 출산예정일+1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5)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
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현재 시범운영 중인 사업이라 모든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. 연중 어느 때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매해 사업 기간 내에서 별도로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 보통 연초 1~2월부터 신청 접수를 받으며, 선착순 마감입니다.-신청 방법: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쇼핑몰 홈페이지(Eco eMall) 또는 읍면동주민센터(서울시는 해당 구청)에서 신청하시면 지자체에서 선정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 여부와 함께 임산부 고유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안내해줌
-지원 내용: 친환경농산물을 꾸러미 형태로 월 1회 이상 공급(연간 48만원)
* 월 4회 한도, 1회당 3만원~10만원 상당 주문 가능
(주문 금액의 50% 이상 농산물 구매 필수)
* 보조 80%(38만 4천원), 자부담 20%(9만 6천원)-신청 대상: 매해 신청기간 현재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1년 이내인 산모
(임신 기간보다 아기 이유식 기간에 이용하면 쏠쏠하다고 함)-지원 품목: 유기농농산물, 무농약농산물, 유기가공식품, 유기축산물, 유기수산물, 무농약원료가공식품, 무항생제축산물(한우, 돼지고기, 유정란)
-주문 가능 쇼핑몰: 에코이몰 Eco eMall, 한살림, 두레생협몰,
-사용 기간: 당해 12월 지정일자까지
자세한 내용은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쇼핑몰 Eco eMall에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https://www.ecoemall.com/https://www.ecoemall.com/
www.ecoemall.com
3. 자동차 보험료 할인받기
대부분 자동차 보험사에서 어린 자녀를 태운 30~40대 운전자들의 운전 성향은 안전운전을 지향하고 사고위험이 낮다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만 6세 이하나 출산 예정인 자녀가 있는 기명피보험자 1인 한정 또는 부부한정과 같은 운전자한정특약 가입자에게 자녀할인특약으로 자동차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-KB손해보험: 자녀할인특약
·태아~만 1세 미만 : 14%
·만 1세 이상~만 6세 이하 : 8%-삼성화재: 자녀사랑할인특약(피보험자 연령 만 35~65세 기준)
·태아 : 15%
·만 0세 : 3%
·만 1~5세: 2%-DB손해보험: Baby in Car 할인특약
·태아 : 17%
·만 0세 : 10%
·만 1~5세 : 6%
·만 6세 : 5%-현대해상: 자녀할인특약(부부 및 1인 한정 기준)
·태아 : 14%
·만 6세 이하 : 10%-하나손해보험: 자녀할인특약
·만 7세 이하 : 5%-메리츠화재
·만 7세 이하(출생예정 포함) : 7%-AXA손해보험: 자녀할인특약
·만 7세 이하 : 6%
·만 8~12세 : 3%
·만 13~15세 : 2%
반응형'잡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북유럽 인테리어소품 생활용품 직구│노르딕네스트 직구 방법 꿀팁 A to Z (0) 2022.11.30 2023 정부 출산혜택 · 출산지원금 총정리(부모급여, 아동수당, 첫만남 이용권) (0) 2022.11.30 연금복권 인터넷 구매 방법 (동행복권) (1) 2022.11.28 소상공인 대출지원: 대환대출 지원대상 확대 · 신청 방법 · 저금리로 전환 (0) 2022.11.25 핀에어 이용 후 롯데상품권 신세계상품권 교환하기(마일리지 포인트 사용법) (0) 2022.11.24